心理야 노올자!/심리야 이리와

심리학을 변화시킨 40가지 연구[제2부 5.잠자는 것은 꿈꾸는 것]

인생멘토장인규 2010. 1. 18. 12:59

 

제 2부. 의식

- 의식의 연구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있고 흥미로운 연구는 "수면, 꿈, 최면"에 초점을 둔 것이다.

   결국 잠자는 것과 꿈꾸는 것은 우리모두의 일상적인 일이고, 거의 모든 심리학자는 어떤 이유때문에 최면에 매혹된다.

 

연구분야

1) REM수면, REM수면과 꿈과의 관련성을 제시

2) 선도적인 꿈연구자의 연구경험을 통해 우리가 꿈 내용을 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줌.

3) 꿈꾸는 과정을 전적으로 생리적이고 무선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줌

4) 최면이 독특하고 강력한 상태라고 하는 널리 알려진 믿음을 반박하는 연구

5) 최면상태의 사람들이 각성상태의 사람들과 다르지 않으며, 단지 조금 더 동기화되어 있을 뿐이라는 것을 증명

 

5. 잠자는 것은 꿈꾸는 것

 

●꿈에 대한 기초지식

- 수면의 단계는 REM과 NREM으로 나뉜다.

- NREM은 다시 4단계로 나뉜다.

- 1단계는 가볍게 수면에 들어간 상태로 수면에 들어가기 전에 보이던 8-12Hz의 알파파가 점차 감소하여 관찰하기 힘든 단계.

   2단계에서 4단계로 들어가면서 수면은 점차 깊어짐.

- 2단계는 방추파(spindles wave)와 k-복합파(k-complex)가 나타나고 3-4단계에서는 델타파(1-3Hz)가 나타난다.

- 특히 3단계 수면에서는 델타파가 20-50%를 차지하는데 비해 4단계에서는 50%이상을 차지한다.

   이때는 뇌파의 주파수가 낮아져 1초에 한 주파수를 보이기도 한다. 이와같이 주파수가 낮은 수면을 서면수파라고 한다.

- REM수면에서는 잠을 자고 있지만 깨어있을 때처럼 뇌파와 안구가 매우 빠르게 운동한다.

  심박률과 혈압도 깨어있을때의 수준까지 증가한다. 성적각성수준과 상관없이 남성의 발기와 여성의 질분비가 이루어지지만

  근육의 긴장은 매우 낮아서 거의 마비상태에 있다.

- 이와 같은 수면의 단계는 대략 1시간에 30분 주기로 순환하지만 4단계의 수면으로 들어가는 것은 초기 1-2회에서만 이루어진다.

 

●꿈은 언제 꾸고 왜 꾸는가?

- REM단계에 있는 사람을 깨우면 생생한 내용의 꿈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NREM단계에서 깨우면 약 25%에서만 꿈을 이야기할 수있다.

  이때는 무엇에 놀라거나 숨이 막히는 등 유쾌하지 못한 꿈을 보고한다.

- 꿈의 지속시간과 REM의 길이간의 상관관계도 발견되었다. 즉 REM 이 시작된지 5분후에 깨운사람보다 15분후에 깨운 사람의 꿈 내용이

   더욱 길고 정교하다.

 

<<해리슨내과학>>

●뇌파에 대하여

- 눈을 감고 조용히 누워있는 정상적인 각성상태는 뇌파상 8-13Hz의 알파파.

- 졸린 상태에서 알파파가 감소되는 양상

- 얕은 수면시에는 4-7Hz의 세타와 4Hz보다 느린 델타리듬이 나타난다.

 

- "윌리엄 데멘트"의 꿈-박탈에 관한 연구와 "유진 아제렌스키"의 수면에 관한 연구

- 1952년 당시 유진 아제렌스키는 유아들이 잠을 자는 동안 활동적인 눈운동이 주기적으로 나타남을 발견했다.

   나머지 밤 시간동안에는 간헐적으로 느리고 두리번 거리는 눈 운동만이 있을 뿐이었다.

   그는 활동적인 눈운동기간이 꿈꾸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이론화함.

 

- 윌리엄데멘트의 연구는 "꿈-박탈의 행동적 영향에 대한 연구"다.

   REM수면에 들어가려고 하는 순간에 잠을 깨우는 것이다. 피험자는 23-32세의 남자. 두 종류 실험을 시행

   첫째는 NREM수면에 들어가는 순간 깨움, 하루저녁에 6회정도 깨움. - 꿈 박탈

   둘째는 NREM이 끝나고 REM에 들어간 것을 확인하고 깨움. - 꿈을 꿈.

 

그러면 "REM-반동효과"가 나타나 더욱더 많은 꿈을 꾸게 된다. REM-반동효과는 동물에게서도 증명된다.

 

- 알콜중독자는 알콜에 의해 REM수면을 억압해서 잠자는 동안 NREM의 더 깊은 단계에 머무르게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잠을 자기위해 알콜이나 수면제를 복용하는 습관을 버릴 수 없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때문이다.

   약복용을 중단하면 REM-반동효과가 너무 강하게 나타나 그들은 불안증상이 심해졌고,

   잠자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고 꿈꾸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약을 다시 복용하게 된다.

 

- 10여년이 넘는 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REM박탈로부터 어떤 부정적인 영향이 실제한다는 것을 증명하는데는 실패했다.

 

- 마지막으로 데멘트는 NREM수면동안보다 REM수면동안에 뇌의 단백질 합성이 더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일부도 이러한 화학적 변화가 새로운 정보를 뇌의 기억구조로 통합하는 과정을 표상하고 성격에서 새로운 발달을 위한

   기질적인 기초가 될수있다는 것을 믿는다.

 

<책을 중심으로>

1. 제안

 - 잠자는 사람은 꿈을 꾼다 -> 생존의 필수적인 요소일지 모른다. -> 만약 꿈꾸는 것을 억제한다면 인간에게

    심리적으로나 생리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칠까?

 

2. 실험

 - 대상 : 8명 성인(23~32세)

 - 방법 : 피험자들의 잠자는 패턴을 관찰하여 정상 패턴의 꿈의 양을 측정

             다음 단계로 피험자의 REM 수면을 박탈(REM 수면이 시작되면 피험자를 깨우고 다시 잠자리에 듬)

             다음 단계로 피험자들에게 박탈된 REM 수면을 회복하도록 잠을 재운고 꿈의 양을 측정(회복 단계)

             다음 단계로 피험자들에게 휴가를 주고 휴가 후에 다시 꿈이 끝나는단계에서 피험자를 깨우도 또 재움

            

3. 결과

 - 피험자가 방해받지 않고 잠자는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50분 중 꿈을 꾸는데 소비한 평균 시간은 80분(19.5%)

   -> 거의 모든 피험자의 꿈꾸는 시간 비율은 거의 비슷하고 꿈꾸는 사람간의 시간 변화량은 오차 +-7분정도

 - 첫번째날 꿈 박탈회수 평균 4.38회(4~7회), 두번째날 꿈 박탈회수 평균 11회(7~22회), 마지막날 꿈 박탈 평균 22회(14~30회)

   -> 꿈꾸는 기회를 박탈할 수록 다음날 꿈을 꾸려는 시도가 증가

 - 회복단계에서의 전체 수면시간 대비 꿈꾸는 평균 시간은 112분(26.6%)

   -> 그러나 8명에서 2명은 회복 단계에서 19.5% -> 16.8% / 17.9% -> 19.8% 로 상관 관계가 없이 보였다. 2명을

        제외하면 평균 전체 꿈시간이 127분(29.0%)

 - 4번째 단계에서 평균 꿈꾸는 시간이 88분(20.1%)로 REM을 박탈당할때에 비해 큰차이가 없다.

   -> 결과적으로 REM 수면은 꿈과 매우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

 

4. 논의

  - 8명중 2명은 REM 반동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REM 반동(rebound): REM 수면 기회를 뺏기면 차기 수면에 REM 수면 회수가 늘어나는 현상)

    -> 2명중 1명은 수면 전에 와인을 마셔서 알코올의 억압효과로 꿈 시간 증가가 상쇄된것 같았지만

        나머지 1명은 REM 반동의 유일한 예외였음

  - REM 수면 박탈 실험 기간 중 피험자들은 경미한 불안, 자극 감응성, 주의 집중의 어려움을 나타냄

     -> 피험자 중 5명은 박탈 실험 기간 중 식욕이 증가했으며, 이 중 3명은 3~5 파운드 정도 체중이 늘었음

 

5. 후속 연구

  5.1 데멘트는 약물(알코올, 암페타민, 바비투레이트)이 REM 수면을 박탈한다는 사실 발견, 약물은 Non-REM 수면을

       유도하여 REM 수면을 억압

     -> 따라서 알코올이나 수면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이를 끊으면 REM-반동 효과가 너무 강하게 나타나면서 불안 증상을

         보이며 잠자는 것을 두려워하고 꿈꾸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약을 복용하게 됨

     -> 수년간 알코올에 의해 REM수면이 박탈된 알코올 중독자의 경우 REM 반동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서 깨어 있을 때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위협적인 환각을 포함하는 섬망증 또는 D. S. T로 알려진 현상으로 설명 가능

         (Greenberg & Perlman, 1967)

  5.2 데멘트는 추가적으로 REM 수면 박탈로 인해 신체적으로 유해한 변화를 관찰하고자 했으나, "10년간의 연구 동안

        장기적인 선택적 REM 박탈로부터 어떤 부정적인 영향이 실제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실패했다"고 결론 지음

  5.3 데멘트 초기 연구에서 Non-REM 수면보다 REM 수면 동안 뇌의 단백질 합성이 많이 일어난다고 함

       -> 이는 화학적 변화가 새로운 정보를 뇌의 기억구조로 통합하는 과정을 표상하고 성격에서 새로운 발달을 위한

           기질적인 기초가 될수 있다고 믿음(Rossi, 1973)

 ((※참고. 심리학을 변화시킨 40가지 연구, 로저 R. 호크,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