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비전의 수명 주기가 CEO의 수명 주기와 거의 같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많은 CEO가 새로운 비전 만들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CEO에게 있어서 새로운 비전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성공적으로 비전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최근 국내 모기업이 지난 50년을 회고하고 새로운 50년을 준비한다는 기치 아래 새로운 CI(Corporate Identity)를 발표하였다. 여기에는 새로운 비전과 중장기 전략이 함께 포함되어 있었다. 이처럼 많은 기업들이 미래를 향해 새로운 목표를 정하고 조직의 전열을 가다듬기 위해, ‘비전(Vision)’이라는 카드를 활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기업과 CEO에게 있어서 비전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나아가 비전이 담고 있어야 할 핵심 요소가 무엇이고 성공적으로 비전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함께 살펴 보기로 한다.
비전이 필요한 세가지 이유
● 새로운 비전은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CEO가 취임하면서 반드시 챙겨야 할 과제가 바로 구성원들과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를 통해 자신이 전임 CEO와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같은지를 알려 주어야 하며, 구성원들이 자신의 경영 방침과 전략을 적극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전체 구성원들이 같은 생각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CEO가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기보다는 회사의 비전을 새롭게 수립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새로운 비전을 만드는 과정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바람과 열망이 무엇이고 그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가치가 어디에 있는지를 말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회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이 어디고 그 전략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CEO와 구성원들은 자신과 다른 상대방의 생각을 알게 될 것이고, 그러면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새로운 비전을 만드는 과정이 아니고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그와 같은 회사의 본질적문제를 논의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비전’이라는 원론적이고 본질적인 질문 속에서 CEO, 그리고 조직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재점검하고 이정표를 다시 설정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 새로운 비전은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CEO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중의 하나가, 기존의 조직 구조와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재정비하는 일이다. 조직 구조의 변화는 조직 내부에 건전한 긴장감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조직 내부의 원활한 신진대사를 돕는다. 많은 기업들이 당장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조직을 만들고 없애기 때문에 대개 조직 전체가 일관된 체계를 갖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존의 조직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미래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제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의 비전과 중장기 전략 방향이 명확해야 한다. 새로운 비전을 만드는 것은 회사의 전략 방향과 사업 구조를 재검토하게 하여 조직 구조를 재정비하도록 해준다. CEO가 취임하면서 뚜렷한 명분도 없이 그냥 조직을 개편하려 하기 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비전을 만드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스스로 조직 구조를 바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아마도 구성원들은 CEO의 조직 개편을 ‘자기 사람 심기’라고 비난하면서 조직적으로 저항할지도 모른다.
● 새로운 비전은 기업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해 준다
새로운 비전을 만드는 과정에서 기업은 과거의 성공과 실패에 대해 깊은 반성을 하게 되고 여기서 얻은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미래의 방향과 목표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CEO와 구성원들은 지금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앞으로 해야 할 과제가 무엇이고 그 우선순위가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도 알게 될 것이다. 어제의 핵심역량이 과연 내일의 핵심역량으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을지, 어제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전략이 내일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전략으로서 여전히 유효할 수 있을지를 점검하면서, 구성원들은 과거의 성공이 미래의 성공으로 이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이게 될 것이다.
새로운 비전이 담아야 할 세가지 요소
앞서 우리는 새로운 비전이 기업과 CEO에게 주는 가치와 필요성이 무엇인지 살펴 보았다. 그렇다면, 새로운 비전을 만드는데 있어서, ‘비전’이 반드시 담고 있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 보기로 한다. 기업이 지향하고자 하는 미래의 모습, 즉 조직의 비전에는 기업의 존재 이유와 성장의 방향, 경쟁우위의 원천이 담겨져 있어야 한다.
● 기업의 존재 이유
기업은 본질적으로 이윤을 남기기 위해서 존재한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으로 그리고 가장 효율적으로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기업의 경영자들은 끊임없이 변화를 꾀한다. 그러나 이윤 추구라는 존재 이유만으로 모든 기업의 존재가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마피아 조직을 예로 들어 보자. 마피아 조직은 그 어떤 조직보다 효율적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하지만 이윤 추구를 위해 열심히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을 우리는 ‘기업’이라고 하지 않는다. 바로 정당성(Legitimacy)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존재할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기업 활동 자체가 정당성을 지녀야 한다.
‘인간의 무병장수를 위해 존재하는 기업(Pfizer)’, ‘인간 생활의 편리함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GM)’, ‘인류에게 편안한 운송수단을 제공하는 기업(Ford)’, ‘인류에게 무한한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기업(ChevronTexaco)’, 이것이 바로 그 기업이 이 세상에 없어서는 안 되는 이유인 것이다.
● 기업의 성장 방향
비전에는 기업이 지향하고자 하는 미래의 모습과 함께 향후 나아갈 방향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어야 한다. 어떤 사업을 영위할 것인지, 어떤 지역에서 경쟁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이정표가 제시되어 있어야 구성원들이 혼란을 겪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전은 구성원들에게 구체적인 행동지침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사업을 현재의 주력 사업으로 할 것인가, 향후 구조조정 대상이 될 사업 영역은 어디인가, 미래의 성장 엔진으로 삼을 신규 사업은 무엇인가, 향후 어느 지역을 집중 공략할 것인가 하는 등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에 대한 분명한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비전은 구성원들에게 그저 공허한 문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LG화학은 “고부가가치의 유화제품, 고기능 산업재, 정보전자 소재 사업에 집중 투자... 국내에서 주도적 위치 강화, 중국을 전략 지역으로 삼아…”(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참조, www.lgchem.co.kr) 등과 같이 성장 방향을 제시하였고, BASF의 경우에는 “광범위한 제품 구색과 저렴한 범용제품 위주의 사업 영역 구축… 동아시아를 생산 거점으로…”(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참조, www.basf.com) 등과 같은 성장 전략을 비전에 담고 있다.
● 기업의 경쟁우위 원천
새로운 비전 속에 기업들은 향후 자사가 무엇을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삼을 것인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일상화되어 버린 ‘고객중심의 경영’, 그것은 1980년대만 해도 우리 기업에게는 매우 생소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비즈니스의 축이 옮겨갔다는 것을 암시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결국 고객이 기업에게 가치를 제공해주는 원천이고, 경쟁자와 경쟁할 수 있는 근거 또한 고객에게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경쟁우위 원천에 대한 이러한 본질적 개념에서 더 나아가 좀더 구체적으로 자사의 경쟁우위 요인을 밝힐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LG화학은 “국내에서의 독점적 시장 지배력과 중국 지역에서의 선점효과… 고객을 위한 솔루션 제공…” 등을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보았고, BASF의 경우에는 “대규모 생산에 따른 규모의 경제 및 광범위한 제품 구색… 세계적인 생산/판매 네트워크의 구축…” 등을 경쟁우위 원천으로 삼고 있다.
성공적인 비전이 되기 위한 세가지 요건
기업에게 있어서, 새로운 비전이 가지는 의미와 비전이 담고 있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 보았고, 나아가 비전을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은 무엇인지 알아 보기로 한다.
● 구성원의 바람과 열망을 담은 비전
구성원들의 생각과 가치가 반영되지 않은 비전, 그래서 구성원들의 가슴 속에 남아 있지 못한 비전은 그 수명을 다하기가 어렵다.따라서 구성원들이 현재 그리고 미래에 바라는 것이 무엇이고, 그들이 열정을 다해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가 비전에 담겨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내, 외부 구성원들의 의견과 생각을 적극 수렴할 수 있는 공식적인 컨센서스(Consensus)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컨센서스 과정에 보다 많은 구성원들이 참여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비전 및 핵심가치(Core Values) 만들기 경연대회’, ‘비전 워크샵’, ‘비전 수립을 위한 핵심 그룹 인터뷰(Focused Group Interview: FGI)’ ‘비전 투표’ 등과 같은 이벤트 활동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와 컨센서스 과정은 구성원 스스로가 비전을 만드는 작업에 참여하여 나름대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자부심을 갖도록 만들어 줄 것이다. 적어도 구성원들이 새로운 비전에 각별한 애정을 가질 수 있는 기회는 제공되어야 한다.
● 달성 가능한 비전
기업의 존재 이유와 성장 방향, 경쟁우위의 원천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해서, 비전이 그저 허황되고 먼 이야기로만 남아 있어서는 곤란하다. 미래의 특정 시점을 고려하여 자사의 역량과 전략으로서 충분히 달성 가능한 비전의 모습이 그려져야 한다. 그래야 구성원들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열심히 노력하지 않고서도, 현재의 역량으로 충분히 달성 가능한 비전과 목표를 제시한다면, 구성원들에게 꿈과 설레임을 주지 못할 것이다. 거기에는 도전의 짜릿함도 없고, 열망(Aspiration)에 대한 벅참도 없다. 회사의 비전은 곧 구성원 개개인의 비전과도 직결된다. 따라서, 정체되어 있는 기업의 미래 모습을 보면서 구성원들은 실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자신의 미래가 그 곳에 바로 투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막연한 기대만으로 비전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 시장과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예측, 자사 역량에 대한 냉철한 판단과 분석,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과제 도출 과정을 통해, 달성 가능하면서도 한번 해볼만한 비전과 목표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비로소 사람들은 설레는 가슴을 안고 기꺼이 과제에 몰입하려고 할 것이다.
● 신뢰할 수 있는 비전
구성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비전이라는것은, 절차적 정당성을 가지면서도 목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처방전이 담겨 있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적인 처방 없이 목표와 과제만을 담고 있는 비전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모르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함으로써 비전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구성원들은 비전이 제시하고 있는 미래를 더 이상 믿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구성원들이 신뢰할만한 비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순간부터 새로운 비전은 그 가치와 의미를 잃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신뢰할만한 비전을 만들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해결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비전 만들기 3-3-3
지금까지 새로운 비전이 필요한 3가지 이유, 비전이 담고 있어야 할 3가지 요소, 성공적인 비전이 되기 위한 3가지 요건 등 비전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9가지(3-3-3) 요소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 보았다. CEO가 이와 같은 비전 3-3-3을 중심으로 새로운 비전 만들기에 착수한다면, 아마도 그는 절반의 성공이라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얻게 될 것이다.
2004.07.16 | 주간경제 789호(LG경제연구원)
'지혜의 향기 > Working toge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훌륭한 리더와 식사코드 (0) | 2008.10.19 |
---|---|
감성파괴형 리더들에게 경종을 울려라 (0) | 2008.10.19 |
유로2004에서 배우는 경영 포인트 (0) | 2008.10.19 |
동양사상으로 풀어보는 경영혁신 (0) | 2008.10.19 |
손자병법으로 풀어보는 마쓰시다 혁신 (0) | 2008.10.19 |